본문 바로가기
N잡 일기.

재테크 정보공유 초년생 준비 가계부 적나요?

by 타빙 2019. 12. 16.
728x90

직장인이 되서, 월급을 타면 가장먼저 생각을 하는게 재테크 방법인데, 

정보도 많고, 하는 방법도 다양해서, 자기한테 맞는 방법을 사용을 하시면 됩니다.

 

예전과 다르게 요즘에는 카드나 계좌만 연동시켜도 지출내역을 알아서 가져와주는

가계부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사용을 해보시길 추천합니다.

 

네이버가계부, 뱅크샐러드, 편한가계부, 똑똑가계부 등등 스마트폰으로 설정만 하면,

소비패턴까지 분석이 가능한 앱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데, 

그만큼 자기의 소비패턴이나 세는돈을 잡기위해서, 사용을 하시면, 좋을꺼 같아요.

저는 뱅크샐러드를 이용하는데, 기존에 거래은행 가계부를 사용했었는데,

카드내역이랑 연동이 되는 부분에서 조금 불편해서 갈아 탓습니다.

 

그다음은 역시 통장쪼개기인데, 요거는 거의다 아실꺼라 생각을 해서 넘어갈께요 ㅋㅋ

 

주거래 은행, 예금/적금 통장, CMA통장 청약통장 뭐 이정도로만 저는 구분을 해봤답니다.

근데 4개 5개 항목에 따라서, 쪼개서 쓰시는 분들도 많은거 같더라구요

요즘에는 어느 은행을 가더라도 조건만 충족되면, 이체 수수료가 무료고, 카뱅을 이용하면,

출금 수수료도 무료 이기 때문에, 자기가 원하는 만큼 통장을 쪼갤수 있어서 좋은거 같아요.

 

예금이나 적금 금리는 검색을 통해서 알아보는데, 시중 1금융권 같은 경우에는 금리가

너무짜기 때문에, 특판상품을 찾아 보시길 추천합니다.

아니면, 새마을금고의 통장을 이용하시는 방법도 추천합니다.

안전한곳중에 그나마 이율이 괜찮기 때문에, 쉽게 이용하시기 편하실껍니다.

 

적금은 재테크 방법이라고 하기 보다는, 강제저축을 해서, 돈을 모아간다고 생각하시면 편하실껍니다.

나중에 더 많은 돈을 굴리기 위해서, 단계중의 하나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재무설계를 받으면, 가장 많이 하고, 기본중에 하나가 바로 가계부, 통장쪼개기, 예/적금 인데

돈을 굴리기 위한 준비단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요즘엔 복리의 개념을 가진 통장이 거의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산관리가 재테크의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많이벌고 안쓰기 인대 쉽지 않기 때문에...

차근차근 준비하면, 좋을꺼 같아요

728x90